[청약정보/민간사전청약] 민간 사전 청약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약으로 집 매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청약이라고 하면 많은 분들께서
"청약으로 집을 사는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막연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청약을 하면서 점수에 연연하지 않더라도
집을 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민간 사전 청약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오늘의 소개해드릴 민간 사전 청약에 대해서는
다른 블로그에도 나와있을 수도 있지만,
다년간의 청약 경험으로
핵심 내용을 전달드리겠습니다.
기초 작업을 먼저 말씀 드리자면,
1. 청약 점수를 확인할 것
2. 청약의 종류를 확인할 것
Q. 민간청약인데 청약점수는 왜 확인하나요?
A. 청약 점수를 확인해야 공공분양을 할 지,
민간 분양을 청약할 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됩니다.
수도권 기준으로 청약 점수가 50점 이상이시면
향후 5년 이내에 공공주택 분양이 가능하지만,
30점대이거나 그 이하인 분들은
사실상 10년이내에도 분양이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때문에, 먼저 청약 점수를 확인하여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해드릴 수 있습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그럼 순서대로 여러분의 가이드가 되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준비가 되셨으면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1. 청약 점수 확인하기
네이버에 [청약홈]을 검색하여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접속해주세요.
청약가점계산기를 선택해주세요.
가점확인 어렵지 않죠?
2. 청약 종류 확인하기
청약의 종류는 정말 다양합니다.
오늘은 민간사전청약에 대해 설명을 해드리려 합니다.
일반 민간장기일반임대주택과는 다른,
공공택지 내에서의 사기업들의 민간분양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시공시행사로는
자이아파트, 힐스테이트, 더샵 등이 있습니다.
사전청약은 착공 시 분양을 진행하는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르게
착공보다 빠른 시기에(보통 2년~3년) 분양을 합니다.
이러한 제도는
단기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하네요.
공공 사전청약은 무주택자만 가능하지만,
민간 사전청약은 1주택자도 가능합니다.

세부적인 부분은 내용이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아
제가 따로 표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이해를 돕겠습니다.
휴~ 만드느라 정말 힘들었네요 :)
그래도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표에서 보시면,
사전청약 시에는
빨간색 테두리 위주로 보시면 됩니다.
공공과 민간청약 시 얼만큼의 공급비율이 있고,
나는 어디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분께서
생애최초 혹은 신혼부부특별공급을 원하신다면,
모집 공고를 확인해서 해당하는지
여부 확인 후에 진행 하시면 됩니다.
*일반공급보다는 특별공급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민간 사전청약뿐 아니라,
공공 사전청약에서도 필요한 건
"나에게 맞는 청약 전략"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특별공급 청약 시 어떤 전략이 나에게 맞는지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을 위해
좋은 자료를 들고 포스팅하고 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정보/민간임대]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큰돈을 벌 수 있다? (3) | 2022.06.15 |
---|---|
[공공임대/민간임대]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이 핫한 이유 (8) | 2022.06.13 |
[도시개발법 개정안] 도시개발법 개정안, 어떤 것들이 바뀔까? (4) | 2022.06.10 |
[부동산 탐구] 공공임대아파트와 장기일반민간주택(민간임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편 (9) | 2022.06.09 |
[부동산 탐구] 공공임대아파트와 장기일반민간주택(민간임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1편 (4) | 2022.06.09 |
댓글